온라인 세상, 말의 힘이 너무 커졌습니다.
누군가에겐 가벼운 농담이, 다른 누군가에겐 큰 상처가 됩니다.
혐오 표현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지만, 동시에 표현의 자유를 지켜야 한다는 우려도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 온라인 혐오 표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 규제를 위한 제도적 시도와 논란
● 혐오와 자유 사이, 사회가 나아갈 방향
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1) 온라인 혐오 표현, 왜 문제인가요?
디지털 공간은 익명성이 보장되기 쉽습니다.
그만큼 말의 칼날이 더 날카롭습니다.
특히 성별, 인종, 장애, 성적 지향, 지역 등을 대상으로 한 혐오 발언은 점점 더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SNS 댓글, 유튜브 영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죠.
이런 표현은 단순한 '불쾌함'을 넘어
● 사회적 낙인을 강화하고,
● 차별을 정당화하며,
● 소수자의 목소리를 위축시킵니다.
실제로 청소년·청년층 사이에서는
‘댓글이나 게시글 때문에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는 응답이 많아지고 있어요.
2) 혐오 표현 규제, 어디까지가 정당한가요?
한국 사회도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2020년대 들어 일부 지자체나 기관 중심으로 ‘혐오 표현 금지 조례’가 제정되거나 시도되었습니다.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나 국가인권위원회는
온라인상의 인권 침해 표현에 대해 시정 권고나 삭제 요청 등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우려도 커집니다.
● 주관적인 판단으로 규제될 경우
표현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정치적 도구화 우려
특정 집단이 ‘표현의 자유’를 방패 삼아 혐오를 정당화하거나,
반대로 ‘혐오 표현 규제’를 무기로 정치적 비판을 막으려는 시도도 있었죠.
이처럼 경계선은 모호합니다.
‘어디까지가 혐오이고, 어디까지가 표현인가’라는 질문은 늘 따라옵니다.
3) 우리는 어떤 사회로 가야 할까요?
정답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혐오 표현을 막자고 모든 표현을 통제할 수는 없고,
표현의 자유를 보호한다고 아무 말이나 허용할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건 ‘사회적 합의’와 ‘공감’입니다.
● 소수자에 대한 존중,
● 서로의 인권에 대한 이해,
● 그리고 토론과 교육을 통한 문화 형성.
특히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디지털 시민 교육’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법이나 규제보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힘이 더 중요하니까요.
또한 플랫폼 기업들도 책임을 져야 합니다.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하고,
차별적 표현을 감시하고 조정하는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혐오 표현의 문제는 단지 말의 문제가 아닙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존엄,
그리고 공동체의 건강함을 지켜내는 일입니다.
우리는 더 따뜻한 말, 더 공감하는 표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표현의 자유는 혐오의 면허장이 아닙니다.
오히려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 쓰일 때,
그 가치는 더 빛날 것입니다.